http://www.songeunartspace.org/programs/user/space/space_ex_p_ex1.asp?num=2297
Artists Take-Over
3부 신정균 이은우 오연진 정지현
2021. 6. 2. – 7. 3.
오연진 «기억의 조차» (2F)
«기억의 조차»는 작가가 다양한 매체를 다루는 과정에서 목격한 감각적인 순간으로부터 출발하여, 이를 회화적 제스처와 사진 매체 상의 번역으로 풀어낸 전시이다. 이전 작업에서는 주로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만들어낸 패턴이나 역사적 참조점이 있는 레퍼런스 이미지를 활용했다면,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가 순간적인 기억에 기반해 즉흥적으로 그려낸 다양한 드로잉 시리즈 ‹Solitaire›를 기반으로 한 신작을 선보인다. 유화 드로잉의 일부분을 확대해 인화한 사진 연작 ‹Over All› 시리즈는 ‹Solitaire› 드로잉 시리즈의 일부분을 그대로 복제하면서도 이를 사진적 기법을 통해 전혀 다른 위상으로 변주한다. 작가는 끊임없이 과거의 한 순간으로 회귀하려고 하지만 결코 닿을 수 없는 기억의 움직임을 '조차(Tides)'에 비유하며, 하나의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로 미끄러지듯 파생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준다.
신정균 «Lift & Drift» (3FA)
«Lift & Drift»는 건축 현장에서 촬영한 신작을 통해 예측 불가능한 미래를 담담히 받아들일 수 있는 사고와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태도, 미래에 대한 불안을 기대로 바꾸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지하와 지상을 잇는 건물 중심부의 특정 공간을 배경으로 촬영된 신작 ‹Space Opera›(2021)는 건물 지하에 무대를 세우고 곡예사가 지상을 향해 오르내리면서, 신체적 한계를 넘는 동작과 직관적인 판단을 통해 현 상황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대안을 제시한다. 우주 활극을 뜻하는 제목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반영된 SF적 세계관과 활극이 더해져 초현실적 분위기를 자아낸다. ‹Space Opera›의 사전 리허설 작업인 ‹Dry Rehearsal›(2021)은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터로써 작동하는 가상의 영역을 상상한다. 건물 외장 마감재 테스트를 위해 임시로 조성된 정방형의 목업(mock-up) 공간의 한정된 프레임 속에서 무대를 넘나드는 퍼포머는 불확실성이 만연한 사회 속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미래에 대처해가는 우리의 태도와 닮은 몸짓을 보여준다.
정지현 «Reconstruct» (3FB)
«Reconstruct»는 오랜 기간의 변화와 시간이 무너지고 철거되는 현장에 직접 개입하여 건축물의 벽에 스며든 역사적 흔적과 기억을 기록한다. 근대화의 상징물이었던 삼일빌딩의 리모델링 복원 사업 현장에서 진행한 ‹Reconstruct›(2020)는 복원 중인 건축 자재를 현장에 평면적으로 설치하거나 입체적인 건축 구조가 평면적인 미감의 현대적인 공간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Construct›(2017)는 벽면에 사용되었던 얇은 건축 폐기물로 구조물을 만들어 설치하고 공간이 완성되는 과정을 기록하면서 현대 건축물의 특성인 조립식 벽면의 얇은 층위를 드러낸다.
층간을 이동하며 발견한 건축적, 조립식 미와 구조
이은우 «쌍» (4F)
«쌍»은 사물의 질서에서 가짜와 진짜, 장식과 실용 같은 수직적/대립적 위계질서를 삭제했을 때 이들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빨강, 파랑, 노랑 3원색의 수직 수평선으로 이뤄진 오브제로, 평범한 선반 형태를 닮았지만 측면에는 나무 무늬 장판을 덧붙인 ‹고약한 짓›(2021), 벽돌 패턴의 합판 구조물에 인체를 연상시키는 석고 블럭을 끼워 넣은 ‹동네 리얼리즘›(2021) 등을 선보인다. 이 밖에도 즉흥적이거나 의미 없는 무늬를 토대로 한 일련의 스킬 자수 작품과 ‹탁자›(2017~2021), ‹아저씨›(2021) 같은 원목으로 제작한 가구와 조각을 통해 평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 수공적 노동, 남성적인 일이나 여성적인 일과 같은 사물의 가치에 의문을 제기한다.
한국적 선과 색의 요소가 눈에 들어온다
[두산갤러리/Doosan Gallery] 이형구 - 화학적인 / Hyungkoo Lee - Chemical (0) | 2021.11.17 |
---|---|
[에브리데이몬데이/Everyday Mooonday] Couple Look - 장콸/Jang Koal, Raymond Lemstra (0) | 2021.11.17 |
[국립중앙박물관]시대의 얼굴, 셰익스피어에서 에드 시런까지 (0) | 2021.09.06 |
[현대갤러리/금호미술관/학고제/국제갤러리 서울]이강소/Lee Kangso, Daniel Boyd (0) | 2021.08.11 |
[쾨닉/서울]요린데 포그트/Jorinde Voight - Resonance (0) | 2021.06.22 |
댓글 영역